-
[ 목차 ]
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난해 5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K-패스 이용자가 지난해 8월 200만 명 이른 뒤 다시 7개월 만에 3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.
교통비 절감, 알뜰교통카드 대비 편리성 증대, 지자체 지원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K-패스의 장점을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 누려보세요.
오늘은 k-패스의 신청 방법과 이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지원 대상 및 k-패스 가입조건
지원대상은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으로
k-패스 가입조건은 만 19세 이상의 성인이며 k-패스 카드를 발급 받은 자(알뜰교통카드도 가능)이며 k-패스 참여 지자체 주민이면 외국인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.
K-패스 적립 혜택을 받기 위해 홈페이지나 앱에서 회원가입이 꼭 필요합니다.
이용방법
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합니다.
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는 경우 회원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알뜰교통카드 적립: 2024. 4. 30일 이용내역까지
전환 기간: 2024. 6.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(전환일부터 K-패스 환급 적용)
K-패스 적용: 2024. 5. 1(수) 이용내역부터
(24.5.1(수) 이후 전환 시 전환일부터)
K-패스 카드 신규 가입자
K-패스 카드 발급 (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.) -K-패스 회원가입 - K-패스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 이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적립 및 지급의 순서를 따릅니다.
회원가입절차
k-패스 회원가입은 아래의 절차를 따라서 진행하면 됩니다.
적립 수단
버스(광역버스 포함), 도시·광역철도(신분당선, GTX 등 포함), 공항철도 등이며 다만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, 공항버스 등 별도로 발권받아 탑승가능하고,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지급 기준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지급합니다.
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.
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.
이용횟수 기준 : 30분 이내 승하차 시 이용횟수 1회로 취급됩니다.
일 2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하며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합니다.
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%만 적용하여 지급하며 경기,인천은 해당하지 않습니다.
적립률
일반인의 경우 20% 적립, 청년(만19~34세)는 30% 적립, 저소득층은 53% 적립 됩니다.
청년은 [청년기본법]에 따른 만19세~34세를 의미하며 저소득층은 [기초생활보장법]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의미합니다.
※저소득 적립률은 앱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[MY > 저소득정보] 화면에서 신청하실 수 있으며, 신청결과 저소득 대상자 여부 “정상”인 경우에만 적용됩니다. https://korea-pass.kr/join/login.do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K-패스 참여 지역
k-패스 현재 참여 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.
그밖에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한국교통안전공단이나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, K-패스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.
앞으로도 k-패스는 각 지역 상황에 맞는 지자체 맞춤형 K-패스 사업을 지속해서 발굴해 나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논의중이라고 하니 혜택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. 대중교통비용을 아끼는 방법으로 k-패스 잊지말고 신청하세요.